해리성 기억상실증, 전환장애/ 기초심리평가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해리성 기억상실증과 전환장애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2025.07.24 - [THERAPY/임상심리] - 반응성 애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기초심리평가
해리성 기억상실증
의의 및 특징
• 과거 '심인성 기억상실증'으로 불린 것으로서, 개인의 중요한 과거 경험이나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일종의 기능적 기억장애에 해당한다.
• DSM-5에서는 해리성 기억상실증의 핵심증상으로서, 통상적인 망각과는 일치하지 않는 중요한 자서전적 정보에 대한 회상능력의 상실을 제시하고 있다.
• DSM-5에서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해리성 둔주가 함께 나타나는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으로 구분된다.
• 정체성과 생활사에 대한 전반적인 기억상실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일반상식이나 지식과 같은 비개인적인 정보의 기억에는 손상이 없으며, 언어 및 학습 능력 등 일반적 적응기능 또한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해리성 기억상실증을 가진 사람은 억압 및 부인의 방어기제를 통해 불안과 공포의 경험을 무의식 안으로 억압하거나 의식에서 몰아내는 경향을 보인다.
• 뇌 손상이나 뇌 기능장애가 아닌 심리적 요인에 의해 기억상실이 급작스럽게 발생하며, 일시적인 지속과 함께 회복된다.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차이점
기능성 기억장애 | 기질성 기억장애 | |
주요 원인 | 심리적 요인 | 뇌의 병변이나 감각기관의 장애 |
경과 | 급작스럽고 완전하게 회복되는 경우가 많음 | 기억이 회복되더라도 그 속도가 느리고 불완전한 경우가 대부분임 |
예 | 친구가 교통사고를 당하는 광경을 목격한 후 당시의 사고 장면에 대한 기억을 일시적으로 잊음 | 교통사고로 뇌 손상을 입은 환자가 심각한 기억손실과 함께 주의집중 곤란, 정서적 증상을 보임 |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 개인의 취약성과 환경적 스트에스가 상호작용하여 정신장애로 발병한다고 보는 통합적인 입장의 모델
발생 원인 2가지
- 특정 장애에 걸리기 쉬운 개인적 특성으로서 생물학적·유전적·인지적 요인
-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된 신체적·심리적 특성
전환장애
의의 및 특징
• 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상의 장해가 나타나지만 그와 같은 기능상의 장해를 설명할 수 있는 신체적 혹은 기질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이다.
• 신경학적 손상을 시사하는 한 가지 이상의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므로 '기능성 신경증상 장애'로도 불린다.
• 신체 증상은 의도적으로 가장된 것이 아니며, 그에 선행된 심리적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전제로 한다.
주요 진단 기준
- 수의적 운동기능이나 감각기능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다.
- 그 증상과 확인된 신경학적 혹은 의학적 상태 간의 불일치를 보여주는 임상적 증거가 있다.
- 이러한 증상이나 결함이 다른 신체적 질병이나 정신장애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이러한 증상이나 결함이 사회적·직업적 기능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하거나 의학적 평가를 필요로 한다.
다음은 심리평가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많관부!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