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투사검사인 주제통각검사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다른 심리검사 및 이전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5.05.09 - [THERAPY/심리측정 및 평가] - 주요 신경심리검사(2), 치매선별검사/ 심리측정 및 평가
역사와 발전
• 1935년 Morgan, Murray가 개발
• 무의식/전의식 속에 들어있는 피검자의 욕구, 정서, 기분, 콤플렉스, 성격 갈등의 일부를 드러내는 방법
• 성격 엑스레이
이론적 근거
(1) 투사
Freud
그것이 남용되어 병적인 과정에 개입되지 않는 한, 우리가 내적인 어떤 감정이나 감각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하는 불가피하면서도 자 연스런 지각의 한 과정
Murray
충분한 객관적 근거가 없이 욕구, 감정, 정서 또는 그 정서 상태에 의해 활성화된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맥락과 같은 정신적인 요소들이 그 경험하는 주체에 의해 외부 세계로 옮겨지는 과정
(2) 통각
지각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며 외부의 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지각 과정에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된 보다 통합적인 인식과정
(3) 심리적 결정론
TAT뿐 아니라 모든 투사적 검사에는 자유연상의 과정이 포함되며 그 검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심리적결정론(psychic determinism)을 전제합니다.
TAT 카드를 보고 수검자가 구성해낸 이야기가 단지 그림에 대한 객관적인 설명이 아니며, 피검자가 현재 만들어내는 연상 속에 그의 과거의 경험과 내적인 세계가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반영될 수 밖에 없다는 가정입니다.
다른 투사적 검사와 다른점
● 사고의 형식적인 측면이 아니라 ‘내용’ - 가족 관계, 남녀 관계를 포함하여 대인 관계 상황에 포함된 욕구의 내용, 욕구의 위계,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사이의 타협 구조와 같은 역동적인 측면을 볼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장면’이 연출된 카드에 대해서 피검자는 자신의 다양한 대인 관계 경험과 대인 관계 양식과 관련된 내적인 경험과 갈등을 투사합니다.
● Murray는 TAT 검사가 일련의 심리치료 과정의 첫 단계로, 혹은 단기 정신 분석 치료 과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고 제안합니다.
검사의 개발 과정
○ ‘Havard Psychological Clinic’에서 치료를 받던 14세에서 40세까지의 참여자들에게 그림들을 제시하고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그 이야기를 통해 최종 진단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얼마나 많이 제공해줄 수 있는지 평정하여 각 그림이 가지고 있는 “자극적인 힘 (stimulating power)"을 측정합니다.
○ 최종적 카드 선정의 기준
① 그림이 얼마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내용을 연상시킬 수 있는가?
② 얼마나 모호한가?
③ 수검자가 쉽게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이(적어도 한명)포함되었는가?
④ 그 환자의 핵심적 성격 특성을 반영하는 이야기를 얼마나 불러 일으킬 수 있는가?
카드
- 흑백으로 인쇄된 30장의 그림카드와 한장의 백지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뒷면에는 카드의 번호와 연령별로 적합한 카드의 유형을 분류한 기호가 적혀 있습니다.
- 14세 이상의 성인 남성에게는 M(Male), 성인 여성일 경우는 F(Female), 그보다 어린 소년일 경우는 B(Boy), 소녀일 경우는G(Girl) 라는 알파벳 약자가 적혀 있고, 숫자만으로 표시된 카드는 모든 연령과 모든 성별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카드(No. 1, 2, 4 ,5 ,10, 11, 14, 15, 16, 19, 20)입니다.
- 예를 들면, “BM"은 그 그림이 소년이나 성인 남성 모두에게, "GF"는 소녀와 성인 여성 모두에게, "MF"는 14세 이상의 성인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적합합니다.
지시문
지금부터 한 번에 한 장씩 몇 장의 그림을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될 수있는한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내십시오.
그림에 나타난 장면이 있기까지 어떤 일이 있었고,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림 속의 인물들이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지 얘기해주십시오.
그리고 현재의 상황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도 얘기해주십시오.
신뢰도와 타당도
• 20종 카드 각각 다른 성격 영역 측정→ 타당도 떨어짐
• 암묵적인 동기, 장기 행동에 영향을 주는 동기와 주제 측정 → 장기적인 성공 예측
• 인지양식, 상상력, 가족 역동, 내적 적응, 정서적 반응성, 방어 구조, 내적 대상 표상, 일반 지능, 창의성, 문제해결 기술, 언어 유창성
• 검사 배터리의 일부로 보완적 사용
TAT 검사의 채점
다양한 채점 체계
• 상상에 의한 이야기/주제란 매우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정확하게 특정한 범주에 넣기 어렵습니다.
• Murray: 이야기에 표현된 수검자의 기본적인 욕구와 압력을 기술하고 중요도를 살펴보는 것을 강조합니다.
• Arnold(1962): 해석적 수준에서 이야기의 필수 주제를 재진술하여 기본 의미와 도덕을 강조하였습니다.
• Cramer(2006)는 방어기제에 초점을 둡니다.
• Weston(1995)은 대상 관계에 관련된 채점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 Bellak(1993)의 체계는 포괄적이며 채점이 용이하며 내담자의 이야기를 여러 영역에서 평가할 수 있고 수량화할 수 있습니다.
채점 및 분석
• 주요 주제
• 주인공
• 주인공의 주요 욕구와 추동
• 환경에 대한 개념
• 대상 인물 및 관계
• 주요 갈등
• 불안의 본질
• 갈등과 두려움에 대한 방어
• 처벌받을만한 행동에 대한 처벌과 초자아 적절성
• 자아 통합
각 그림별로 주로 도출되는 내용 및 사례
도판 1: 탁자 위에 올려놓은 바이올린을 보면서 생각에 잠겨있는 소년
- 이 그림에 나온 소년과는 대체로 쉽게 동일시되는 편. 부모와의 관계가 투사
- 바이올린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다른 물건으로 지각하는 경우 성적 억압이나 죄책감이 있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바이올린 자체는 자신의 신체 이미지(body image)와 동일시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 (사례) 20대 미혼여성
“애기가 바이올린을 하기 싫어.. 엄마는 하라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이걸 안 할까 생각을 하는 것.. 어떻게 하면 이건 내 적성이 아닌데, 엄마가 학원 가라는 것 안 하고.. 이 바이올린 샀는데 돈이 많이 들었을텐데.. 안하자니 엄마에게 미안하고.. 결국에는 엄마가 하라는 대로 연습은 하고 연주는 하겠지만 되게 하기 싫어해요, 그렇지만 하는 도중 의외로 바이올린에 재미를 느끼고.. 해피엔딩으로 생각한다면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즐기고 있겠고, 나쁜 쪽으로 본다면 가출, 문제아.. 가 될 수도 있겠네요”
도판 3BM: 마룻바닥의 소파에 기대어 한 소년의 형태를 한 인물이 고개를 파묻고 있고 그 옆에는 권총이 놓여있다.
- 옆에 놓인 물체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다고 지각되는가에 따라 적대감이 내부로 향하는가 외부로 향하는가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인물을 어떤 성별로 지각하는가에 따라 성적인 정체감이나 동성애적 경향 암시합니다.
- 자살 충동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우울 성향을 가진 피검자에게는 반드시 실시합니다.
- (사례) 우울증을 보이는 30대남성
“이 그림은 굉장히 암울하네요. 이 여자가.. 아니 남자인가? 하여튼 몸이, 등에 혹이 있는 것 같은데 꼽추인가 봐요. 이렇게 살아오다가 자기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서 자살한 것 같은데⋯이게 총인가요? 아마도 총으로 자살을 해서.. 이렇게 된 것 같아요. 이런 그림은 오래 보고 싶지 않네요.”
아동용 통각 검사(CAT)
동물 자극을 사용하는 이점
• 검사 목적을 위장하기가 편합니다.
•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욕구나 부정적인 감정들을 드러내기 쉽습니다.
• 문화적 영향을 덜 받습니다.
• 성과 연령이 분명하지않아 등장인물의 성, 연령 특징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CAT의 구성
• Bellak판 : 표준 그림 10장 + 보충 그림 10장
• 한국판CAT : 문화 요인을 고려하여, 9번 캥거루그림을 고양이로 바꾸었다. Bellak판 중 표준 그림 9장 + 보충 그림9장
CAT 분석 방법
• 대체로 TAT와 비슷합니다.
• 주인공의 동일시 대상
• 주인공의 주요 욕구
• 주변 인물에 대한 지각
• 불안의 성질
CAT-H
• CAT 동물 버전과 비슷한 내용의 사람 그림 자극 사용합니다.
• 섭식, 경쟁심, 공격성, 외로움 및 부모와의 상호작용 등이 잘 드러납니다.
• 종단 연구나 장애별 비교 연구가 가능합니다.
• 초등 고학년에게 사용합니다.
주제통각검사에 대해 살펴본 시간이었습니다^^
다음은 문장완성검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THERAPY > 심리측정 및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평가 보고서 형식 및 고려사항/ 심리측정 및 평가 (0) | 2025.05.17 |
---|---|
문장완성검사(SCT)/ 심리측정 및 평가 (4) | 2025.05.16 |
주요 신경심리검사(2), 치매선별검사/ 심리측정 및 평가 (0) | 2025.05.14 |
신경심리평가, 주요 신경심리검사(1)/ 심리측정 및 평가 (2) | 2025.05.12 |
부모양육태도검사(PAT)/ 심리측정 및 평가 (2)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