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다양한 가족화 종류 중 오늘은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와 가족체계진단법을 살펴볼게요~
2025.01.09 - [THERAPY/미술심리진단평가] - 동물가족화검사, 물고기가족화 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동그라미 가족화는
1990년에 Burns가 개발한 검사로, Family Centered Circle Drawing(FCCD)를 말합니다.
'원'을 사용하여 그리며 Jung의 심층 심리의 만다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죠.
중심에 집중하며 인간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시방법
준비물: 원이 그려진 A4용지 4장, 연필, 지우개(색을 칠해도 됩니다.)
원의 중심에 아버지/어머니/자신을 그리세요.
그리고 원의 주변에는 그려진 인물에 대해서 자유롭게 생각이 떠오르는 대로 그려주세요.
인물은 막대기나 만화같은 그림이 아닌 전체 인물로 그리세요.
총 4장으로 어머니 그림, 아버지 그림, 자신 그림, 부모-자녀 그림(PSCD)를 그립니다.
해석방법
- 인물상의 상대적 크기
- 신체 각 부분의 생략이나 과장
- 인물들의 각각의 얼굴 표정
- 인물의 상징
- 인물의 직업이나 행동, 느낌이나 감정 등을 살펴봅니다.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 | 불건강한 부모-자녀 관계 |
인물이 생략되거나 과장되어 있지 않음 | 인물상의 신체부위 생략 |
각 인물의 신체 부위가 균형을 이룸 | 인물상의 지나친 크기의 왜곡 |
밝은 얼굴의 표정 | 화목해보이지 않는 얼굴 표정 |
자신의 상이 중심에 있음 | 부친상과 모친상이 중심부에 있거나 중심부가 비어있음 |
인물상 상호간에 지나치게 접촉되어 있지 않음 | 인물들이 서로 떨어져있음 |
주위 상징이 긍정적이고 희망적 | 주위 상징이 부정적 |
살고 싶은 세계가 그려짐 |
가족체계진단법은
그림에 가족구성원의 감정이 투사될 뿐 아니라,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반영되어 가족 기능의 측정에 도움이 됩니다.
가족미술과제는 진단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쓰이며,
평가단계동안 미술과제는 가족에게 상호작용의 경험을 하게 합니다.
가족이 하나의 작품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각 가족성원들의 행동이 구체적으로 기록됩니다.
인과관계는 관찰이 가능하기에 치료사는 가족구성원 개개인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실시방법
1. 비언어적 공동 미술과제
① 먼저 가족을 두 집단으로 나눕니다.
② 각 집단은 서로 다른 색의 크레파스를 고르고, 끝날 때까지 사용합니다.
③ 한 장의 종이에 작업을 하며, 서로 말하거나 신호를 보내지 말아야 합니다.
④ 과제가 끝난 후, 언어 금지는 해제되고 작품 위에 제목을 씁니다.
2. 비언어적 공동 미술과제
① 전 가족이 한 장의 종이 위에 함께 작업을 합니다.
② 언어적, 비언어적(신호 보내기 등) 의사소통이 금지됩니다.
③ 완성 후 작품에 제목을 정할 때만 이야기할 수 있고 작품 위에 제목을 적습니다.
3. 언어적 공동 미술과제
① 가족 모두가 한 장의 종이에 그림을 그립니다.
② 이번 과정에서는 활동을 하는 동안 이야기를 하는 것이 허용됩니다.
③ 그림을 다 그린 후 그림에 대한 제목을 정해서 씁니다.
관찰사항
- 누가 그림을 처음 시작했는지
- 어떤 순서대로 참가했는지
- 어느 구성원의 제안이 채택되고, 누구 제안이 거부되었는지
- 각자의 개입 정도는 어떤지
- 누군가의 그림 위에 자신의 그림을 덧그려 지워버리는 사람은 누구인지
- 구성원들은 교대로 했는지, 집단으로 했는지
- 각자의 위치는 어떤지
- 각자 얼마나 많은 공간을 차지했는지 등을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가족화 실시방법, 진단 및 해석이 이렇게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다음으로는 제가 실제로 많이 적용하고 있는 풍경구성법을 들고 올게요~ 감사합니다^^
'ART THERAPY 이론 > 미술심리진단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그림검사(DAS)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2) | 2025.02.04 |
---|---|
풍경구성법(LMT)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6) | 2025.02.03 |
동물가족화검사, 물고기가족화 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0) | 2025.01.31 |
동적가족화검사(KFD)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12) | 2025.01.30 |
인물화 지능검사 / 미술심리진단평가 (2)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