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THERAPY 이론/미술심리진단평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728x90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스트레스 측정 및 대처 방법을 파악해 볼 수 있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2025.01.11 - [THERAPY/미술심리진단평가] - 이야기그림검사(DAS)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스트레스

스트레스란,

외부자극을 받을 때 나타나는 긴장 상태와 그에 따른 생리적 반응을 말합니다.

스트레스는 부정적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스트레스는 무조건 부정적이지만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Distress(부정스트레스)는 걱정, 두려움, 분노와 같은 나쁜 스트레스입니다.

반면에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우리를 흥분시키는 Eustress(긍정스트레스)

좋은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우리가 행동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개인에게 가해지는 자극을 스트레스로 보는 관점으로

경제적 압력, 휴식부족, 독소, 감염, 배우자 사별, 운동부족, 알레르기, 감정적 스트레스, 흡연,

수면부족, 불량한 식습관, 부정적 태도 및 신념, 부부갈등 등

다양한 스트레스 유발로 인해 부신피로(부신기능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또 다른 관점으로 변화나 사건(즉, 스트레스)에 대해 보이는 우리의 생리적 반응을 스트레스로 보는 관점

개인과 환경(자극)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보는 관점이 있습니다.

개인과 환경(자극)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스트레스가 결정됨은

환경의 특성과 개인의 지각을 통해 인지 및 대처능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증상

신체적 피로, 어지러움, 두통, 불면증, 근육통/경직(특히 목, 어깨, 허리), 심계항진(맥박이  빠름), 흉부통증, 복부통증, 구역, 전율, 사지 냉감, 안면홍조, 자주 감기에 걸림 등
심리적 집중력이나 기억력 감소, 우유부단, 무기력, 마음이 텅 빈 느낌, 혼동, 불안, 신경과민, 우울증, 분노, 좌절감, 근심, 걱정, 성급함, 인내부족 등
행동적 왔다갔다 함, 안절부절 못함, 신경질적인 습관(손톱 깨물기, 발 떨기), 과식, 과음, 흡엽, 울거나 욕설, 공격적인 행동 등

 

스트레스 대처(Stress coping)

개인의 삶에 스트레스가 되는 문제나 감정을 관리하는데 쓰이는 책략을 말합니다.

효과적인 대처와 비효과적인 대처: 적응적 대처와 부적응적 대처

문제중심적 대처와 정서중심적 대처:

문제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원을 변화시키는 데 목적을 두는 반면,

정서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지각에 수반되는 정서를 관리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건강하지 않은 스트레스 대처: 흡연, 과음, 과식, 과다수면,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앞에서 오랜 시간 보내는 것, 일을 지연시키는 것, 스트레스를 다른 사람에게 푸는 것, 대인관계를 피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트레스 평가법

객관적 검사를 통한 평가

- 생리적 측정(emWave, 심박변이도 검사 등)

- 질문지 검사

투사적 검사를 통한 평가

- 그림검사, 자극카드 검사

728x90

빗속의 사람 그림

PITR이란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와 대처 능력을 측정하는 심리 진단 검사를 말합니다.

Anold Abrams와 Abraham Amchin에 의해 개발된 검사로 인물화에 비가 오는 장면이 첨가된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기존의 있던 인물화 그림이 하지 못하는 대처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에 대해 아동이 구체적인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한 장점이 있습니다.

 

1) 비의 양

  •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거나, 비의 양이 매우 적은 경우

- 자신의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에 무딘 경우에 해당합니다.

  • 빗줄기가 강하고 많은 경우

- 처한 상황과 환경에서 스트레스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비를 맞는 사람의 태도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우산을 쓴다든지, 손으로 가린다든지, 건물 밑으로 피해 있는 경우

- 그 사람에 주어진 스트레스 환경을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아무것도 없이 비를 맞고 있는 경우

- 스트레스에 밀려 감당할 힘조차 없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무력하게 있는 걸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3) 사람의 모습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보이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비를 맞고는 있지만 비를 맞는 사람이 웃는 모습이라든지 밝은 모습

- 스트레스가 있지만 그 상황을 즐기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지친 모습
    - 스트레스 상황이 힘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뒷모습

- 우울함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부수적인 그림들

  • 가로등

- 애정이나 관심들의 필요를 나타냅니다. 일보다는 사람관계에 더 쉽게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향을 보입니다.

  • 우산의 크기

- 스트레스의 대처를 볼 수 있는데, 비의 양에 비해 우산이 지나치게 클 경우,

자신의 에너지를 그곳에 다 소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천둥이나 번개

- 지금 상당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웅덩이, 구름

-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 다룰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와 PITR은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를 파악해 볼 수 있습니다.

곁들여 검사는 아니지만 미술치료 과정 중에 웅덩이화도 함께하면 좋습니다.

웅덩이는 스트레스를 상징하며 웅덩이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떤 모습으로 빠졌는지, 웅덩이와 사람의 비례를 중요하게 봅니다. 

또한 구할 수 있는 도구(문제중심적 대처를 원하는 사람), 사람의 손(정서중심적 대처를 원하는 사람) 등

대처자원을 파악해 볼 수 있어요~

PITR을 실제 적용한 포스팅 링크를 첨부하며 마무리할게요!

2024.10.19 - [ART THERAPY 정서 파트/정서 개인] - 미술치료 프로그램_ 빗속의 사람 그리기 검사(PITR)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