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앞서 설명 드린대로 스트레스 대처 및 문제해결방식 파악을 위한 검사인 PPAT를 알아볼게요~
2025.01.13 - [THERAPY/미술심리진단평가] -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The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ree(PPAT)
Lowenfeld가 처음으로 '사과나무' 주제로 시작하였습니다.
이어 Gantt가 심리검사로 사용하기 위해 채점 척도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검사는 자아상(인물) + 나무 + 사과를 따는 행위로 한 장의 그림에서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과가 갖는 의미는 변하지 않는 단 하나의 상징(ex. 아담과 이브)의 원형(prototype)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검사의 4가지 요소
1) 예술적 정도, 관심사, 직업이나 지능과 상관없이 어떠한 내담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2)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담자의 그림표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합니다(ex. 사전, 사후)
3) 서로 다른 내담자의 그림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어떠한 관찰이나 면접을 통한 부가적인 정보가 없이도 그림의 평가를 위해
내담자의 임상적인 상황에 관한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PPAT와 HTP의 차이
- HTP 그림검사처럼 나무와 사람이 나타나지만 집은 그리지 않습니다.
- 한 장의 종이에 모습을 같이 하며, 동작성이 있습니다.
- 그린 사람의 문제해결 방식을 볼 수 있습니다.
실시 방법
준비물: 8절 흰 화지, 12색 마커(원칙 상 연필로 그리지 않습니다.)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을 그려보세요.
구성요소
① 인물
- 색채가 가미된 인물 표현
- 목적성이 가미된 인물 표현
- 내담자의 실제적 에너지와 관련
② 그림에 사용된 색
- 색의 정서적 영향
- 개인의 성향, 기질, 심리적 정서적 영역의 투사에 좋은 매체
- 너무 많은 색 사용의 해석 필요성
③ 나무
- 성격 발달과 성적 성숙도를 나타냄
- 개인성의 상징
④ 문제해결
- PPAT의 가장 큰 장점이 문제해결력을 볼 수 있음
- 문제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
- 획득한 사과 보관법, 운반 등의 요소를 통해 현실에서 상황에 대처하는 특성을 살펴볼 수 있음
해석(형식 요소 평가 - FEATS)
FEATS(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은
내용, 인상에 근거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한 요소를 모아 14가지 채점 항목을 제시합니다.
1) 채색정도
- 전체의 그림에서 얼마나 많은 색을 사용하였는가를 측정
- 색을 단지 형태의 외곽으로만 사용했는지, 모든 형태 안이나 배경에도 색을 넣었는지를 측정
2) 색의 적절성
- 그림에 사용된 색깔들이 대상을 묘사하는데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
3) 내적에너지
-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된 에너지의 양을 측정
- 색칠의 정도, 사용공간, 그림의 보속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측정
4) 공간
- 그림을 그릴 때의 사용한 공간의 양을 측정
5) 통합
- 그림의 각 항목들간에 전체적으로 밀접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정도를 평가
6) 논리성
- 제시된 과제에 대한 논리적인 반응을 분류하고자 하는 척도
7) 사실성
- 사실적으로 그려진 정도를 평가
8) 해결력
- 그림 속의 사람이 나무로부터 사과를 얻기 위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가를 측정
9) 발달단계
- 그림에 있어서의 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10)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환경
- 얼마나 다양한 항목이 묘사되었는지의 여부와 규정 외의 항목은 얼마나 많이 있는가를 측정
11) 선의 질
- 그림 전반에 사용된 선이 얼마나 통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
12) 사람
- 그려진 사람의 신체상 왜곡이 있는지의 여부 측정
13) 변환성
- 나무나 사람을 표현하는 기울기에 관한 측정
14) 보속성
- 반복되는 정도를 측정
PITR이 스트레스에 초점이 맞춰져있다면, PPAT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문제해결방식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별파도그림검사를 준비해볼게요! 감사합니다^^
'ART THERAPY 이론 > 미술심리진단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2) | 2025.02.05 |
---|---|
이야기그림검사(DAS)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2) | 2025.02.04 |
풍경구성법(LMT)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6) | 2025.02.03 |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FCCD)와 가족체계진단법 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6) | 2025.02.02 |
동물가족화검사, 물고기가족화 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