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심리학 연구방법 중 나머지 연구방법, 자료분석, 결과보고에 대해 짚어볼게요~!
2025.04.01 - [THERAPY/심리학개론] - 주제선정과 가설설정/ 연구방법/ 심리학개론
연구방법
심리학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연구 방법과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시점에 따른 연구방법
심리학 연구 설계는 관찰 시점에 따라 횡단 연구와 종단 연구로 나뉩니다.
횡단 연구 cross sectional research
횡단 연구란 단일 시점에서 수행하는 연구를 말합니다.
즉, 모든 검사 또는 측정이 한 시점에서 실시되는 것이죠.
현재 상태 측정 횡단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인의 효과를 관찰하기보다는
현재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됩니다.
• 성격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시점에서
성격과 직무만족을 동시에 측정하였다면 이는 횡단연구입니다.
종단 연구 longitudinal research
종단 연구란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하는 연구를 말합니다.
즉 연구 개시 시점에 자료를 수집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다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죠.
• 연구기간은 며칠에서 수십 년이 될 수 있습니다.
• 노화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개인 또는 집단을 10세부터 이후 10년 간격으로
인지, 신체적 능력을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대상에 따른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기술적 연구와 실험연구의 두 가지로 대변되는데, 이는 무엇을 연구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기술 연구 descriptive research
기술적 연구는 사례연구, 자연적 관찰, 조사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기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실험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실험연구는 변인간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됩니다.
• 실험연구에서 연구자는 독립변인을 체계적으로 조작하고 종속변인 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데이터 수집방법
데이터 수집 방법은 연구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실험연구에서는 표본의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수집하고,
기술연구에서는 설문조사나 질문지를 통해 과데이터를 수집하죠.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관계성으로 분류 - 심리학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인 간의 관계성을 연구합니다.
• 관계성은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로 구분됩니다.
인과관계 causal relationship
인과관계란 어떤 변인이 다른 변인의 변화를 야기하는 것.
상관관계 correlational relationship
상관관계는 어떤 한 변인이 변화할 때 다른 변인도 함께 변화하는 것.
다른 변화의 원인과 단순 관계
상관관계는 한 변인이 다른 변인의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고
단지 두 변인 간에 관계가 있다는 사실만을 보여줍니다.
• ‘아이스크림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상어의 출몰 횟수가 늘었다’
• 이 가설에서 아이스크림의 판매량 증가가 상어출몰의 원인이 아니라 여름이 되어 아이스크림의 판매량이 늘었고
동시에 여름이기 때문에 상어가 많이 나타난 것일 수 있습니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구분
• oo연구소가 조사한 ‘비행청소년의 식생활에 관한 연구’를 보면 라면, 햄버거, 피자 등의 인스턴트 음식의 섭취량에서
일반청소년과 비행청 소년들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
즉 비행청소년들은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이와 같은 음식물을 2배가량 많이 섭취하고 있었음.
• 이 가설로 인스턴트 식품 섭취량과 비행행동 간의 상관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지만,
둘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 인스턴트 음식을 많이 섭취해서 비행청소년이 된 것이 아니라
비행청소년이 인스턴트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일 수 있으니까요.
• 비행청소년은 가정 밖에서 배회하는 시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더 많아서
인스턴트 음식을 많이 먹는다는 가정도 가능할 것 같네요.
상관연구와 실험연구
상관연구 - 두 변인 간에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만을 관찰.
실험연구 - 한 변인의 변화가 다른 변인의 원인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
자료분석
연구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수집한 후, 연구자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합니다.
통계
연구자는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요약하고 연구의 결과가 의미 있는지를 통계
분석결과가 가설을 지지하는지에 따라 판단합니다.
통계적 유의미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면, 그 결과는 우연에 발생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변화의 방향 분류
상관관계는 변화의 방향에 따라 정적 상관과 부적 상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적 상관 positive correlation
한 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변인도 증가하는 관계
부적 상관 negative correlation
한 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변인이 감소하는 관계
타당도 validity
타당도는 측정하고자 의도한 것을 실제로 측정해낸 정도를 말합니다.
•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로 나뉩니다.
내적 타당도
내적 타당도는 연구에서 관찰한 결과에 대해서 인과관계를 확신할 수 있는가를 말합니다.
• 연구의 결과가 독립변인의 변화가 종속변인의 변화를 유발시켰는지
혹은 그 밖의 다른 요인이 종속변인의 변화를 유발시켰는지의 여부입니다.
• 만일 종속변인의 변화가 독립변인 때문이 아니라면 가외변인이 있기 때문입니다.
• 실험자료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적 타당도에 위협을 주는 요인을 제대로 알아낼 수 있는 능력입니다.
• 위협요인을 피하고 통제하는 것이 실험 성공의 관건입니다.
외적 타당도
외적타당도는 연구결과를 다른 사람, 다른 환경에 적용하여 일반화시킬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운동 능력과 우울 수준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경우.
• 조사결과를 모든 연령층의 사람에게 적용하여 일반화하려 한다면 외적 타당도에 위협이 발생합니다.
• 외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연구결과는 원래의 실험 상황과 피험자 집단에만 국한되어 적용됩니다.
타당도의 종류
예언 타당도 predictive validity
검사의 결과가 피험자의 미래를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에 따른 타당도
공존 타당도 concurrent validity
평가도구에 의해 밝혀진 피험자의 특성이 행동 준거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의 정도.
구성 타당도 construct validity
검사가 심리적 특성을 구성하는 구인들을 얼마나 잘 포함하였는가의 정도.
신뢰도 reliability
일관성
신뢰도란 행동 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합니다.
• 동일한 대상을 반복 측정하면 동일한 값을 얻어야 합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짧은 시간 간격 동안 연속해서 같은 검사를 두 번 실시하는 것.
• 피험자의 학습효과가 유발될 위험이 있습니다.
동형검사 신뢰도 parallel form reliability
피험자의 학습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문항 내용은 다르지만
측정 내용, 문항 수, 문항 형식, 난이도 등이 같은 동형검사를 제작하여 동일대상에게 연속으로 실시하는 것.
반분 신뢰도 split-half reliability
피험자 집단에게 한 번의 검사를 실시한 후,
적절하게 평가도구를 반분하여 분할된 각 부분을 독립된 검사라고 여기고 두 부분에 대한 상관계수를 구하는 것.
결과보고
심리학 연구의 마지막 단계는 연구의 결과를 대외적으로 보고하는 것입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논문의 형태로 보고합니다.
논문의 구성
• 서론 : 선행연구, 연구의 목적, 연구의 필요성
• 연구 가설 • 대상 선정 방법 : 대상의 특성
• 변인들의 조작적 정의
• 측정 방법과 수집된 데이터 분석 방법
• 데이터 분석 결과
• 결과에 대한 논의
실제로 논문 작성을 할 때 도움을 많이 받았던 도서입니다.
논문 작성 앞에 걱정이 앞서신다면 한 권 구비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이렇게 연구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걸 작성하면서 학위 논문 때 추억이 새록새록 하네요ㅎㅎ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THERAP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치의 4가지 종류/ 통계/ 심리학개론 (0) | 2025.04.07 |
---|---|
척도의 4가지 종류/ 통계/ 심리학개론 (0) | 2025.04.06 |
주제선정과 가설설정/ 연구방법/ 심리학개론 (0) | 2025.04.04 |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0) | 2025.04.03 |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2)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