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심리학 연구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저 역시 연구방법론과 통계는 정말 어렵게 느껴지더라구요..ㅠ
그래도 최대한 쉽게 풀어보려 노력해볼게요~!
2025.03.29 - [THERAPY/심리학개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연구의 단계는 주제선정, 가설설정, 연구방법, 자료분석, 결과보고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주제선정과 가설설정에 대해 짚어보도록 할게요.
주제선정
심리학의 연구대상
심리학의 연구 대상은 행동입니다.
• 행동이란 단순한 신체 동작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 태도, 사고, 그리고 정신적 과정까지 포함합니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설명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의도나 동기, 행동에 대하여 끊임없이 판단합니다.
• 인간행동에 대한 일상적 판단은 주관적일 수 있으나
심리학은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하려 합니다.
주제 선정
연구를 시작하기 전 연구할 주제를 선정하여야 합니다.
• 연구 주제는 어떠한 현상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합니다.
• 의문은 과학적 연구가 가능한 것이어야 합니다.
• ‘인류는 멸망할 것인가?’라는 질문보다는
‘술을 마신 뒤 콩나물국을 먹으면 속이 편안해지는가’와 같이 검증 가능한 것이어야 합니다.
과학적 연구
Fred Kerlinger(1986)는 과학적 연구란 자연현상 간의 추정된 관계에 대한 이론과 가설에 따라 실시되는 체계적이고 통제된 경험적 연구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검증결과의 재생산이 가능한 하나의 가설을 말하죠.
체계적이고 통제된
‘체계적이고 통제된‘이란, 연구자가 연구하려는 현상에 대한 하나의 이론이나 가설 이외의 다른 대안적 설명은 배제함을 말합니다.
• 연구자는 하나의 현상에 대해 하나의 이론이나 가설만을 검증할 때 보다 큰 확신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경험적
‘경험적’이란, 이론과 가설을 객관적으로 검증한다는 뜻입니다.
• 객관성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검증결과의 재생산(replication)이 가능해야 합니다.
• 같은 조건에서라면 누가 연구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가설설정
가설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인에 대한 관계를 추측하는 것입니다.
• 가설을 설정할 때는 매우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변인 설정
구체적 가설이란 변인 설정을 설정하는 것인데요.
• 가설에는 반드시 둘 이상의 변인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변인
변인이란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방식으로 변환된 개념입니다.
• 공부시간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에 의문이 있다면,
가설은 ‘공부시간이 많을 수록 시험불안은 감소할 것이다’이며, 공부시간과 시험불안이 두 변인입니다.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어떤 개념을 측정 가능하게 정의하는 것을 ‘조작적 정의’라 합니다.
• 조작적 정의란 추상적인 개념을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구체적 현상과 연결시키는 과정입니다.
숫자 부여
• 변인이 측정 가능하기 위해서는 숫자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성별의 경우 남성은 1, 여성은 2와 같이 숫자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 IQ는 95, 100, 120 등으로 점수화 할 수 있습니다.
• 성격 변인은 리커트 척도(5점 만점)를 이용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독립 변인 independent variable
실험자가 조작하는 처치 변인.
• 연구자가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 연구자가 실험에 처치를 가한 변수. 처치 특정 변인이 다른 변인의 원인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가하는 조치.
실험집단 experimental group
처치를 받는 집단
종속 변인 dependent variable
실험자가 측정하는 실험집단의 반응.
• 독립변인의 조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인
통제집단 control group
처치를 받지 않는 집단
가외변인 (외생변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이외에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
• 실험 설계를 위해서는 가외변인이 제거되어야 합니다.
통제 control
독립 변인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종속 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
• 진정제가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 ‘진정제 투여는 기억력을 감소시킬 것이다’라는 가설
• 두 집단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진정제를 투여하고 통제집단에는 진정제를 투여하지 않음.
• 각 집단을 대상으로 기억력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
• 이 실험으로 진정제가 기억력을 감소시킨다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통제집단의 피험자와 실험집단의 피험자가 진정제를 복용했느냐, 하지 않았느냐를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동일해야 함.
• 이 실험에서의 가외변인은 피험자들이 갖고 있는 기억력의 개인차이.
• 진정제를 투여하기 전 두 집단의 기억력에는 차이가 없어야 함.
이렇게 주제를 선정하고 가설을 설정해보는 단계까지 설명드렸는데요.
논문을 쓸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야 하니까요~ 학위 논문은 아시다시피 시간이 금이잖아요ㅎㅎ
다음은 나머지 부분을 들고 올게요~!
'THERAP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방법, 자료분석과 결과보고/ 연구방법/ 심리학개론 (5) | 2025.04.05 |
---|---|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0) | 2025.04.03 |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2) | 2025.04.02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0) | 2025.03.31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8)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