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RAPY/심리학개론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발달심리학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에 대해 알아볼게요~

콜버그란 학자 이름에 생소하실 수 있을텐데요. '하인즈 딜레마'와 연관지어 떠올리면 좋을거같아요~

2025.03.27 - [THERAPY/심리학개론]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

크게 3가지로 나눕니다.

전인습적 단계

인습적 단계

후인습적 단계

하인즈 딜레마 Heinz dilemma

한 부인이 희귀한 암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그 부인이 사는 마을에서 한 약사가 그 암을 치료할 것으로 기대되는 신약을 개발했다.
약사는 그 약을 만들기 위해 200달러를 투자했으며, 약 한 알에 2,000달러의 가격을 책정하였다.
죽어가는 부인의 남편 하인즈 씨는 있는 힘을 다해 돈을 융통하고자 애썼지만, 결국 1,000달러 정도밖에 모으지 못했다.
하인츠 씨는 약사를 찾아가서 아내가 죽어가고 있으니 제발 약값을 절반으로 깎아 달라고 애걸했지만,
약사는 이를 거절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나머지 절반을 갚겠다는 요청까지도 거절하였다.
절망한 하인즈 씨는 결국 그날 밤 약사의 연구실에 침입하여 신약을 훔치게 되었다.
하인즈 씨는 왜 그래야만 했을까? 또는, 왜 그래서는 안 되었을까? 그의 판단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여러분이라면 하인즈씨를 두둔하실건지, 약사의 편이 되실 것인지 궁금합니다.

도덕적 추론의 수준

콜버그는 도덕 갈등 상황을 제시한 후 질문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분석해

도덕적 추론의 발달에 다음과 같은 세 수준이 있다고 제안하였습니다.

전인습적 수준

판단의 근거로 주로 처벌이나 보상을 언급합니다.

예를 들면, ‘하인즈는 감옥에 갈 수 있으므로 약을 훔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죠.

인습적 수준

판단의 근거로 인간관계 유지, 사회적 승인, 사회 질서와 법 준수를 언급합니다.

예를 들면 ‘하인즈는 좋은 남편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약을 훔칠 수 밖에 없었다’,

‘훔치는 것은 법에 어긋나는 것이고 사람들이 개인적인 이유로 도둑질을 한다면 사회 질서는 유지될 수 없을 것이다’와 같은 답을 하는 것이죠.

후인습적 수준

판단의 근거로 생명, 자유, 행복추구의 권리와 같은 가치를 반영하는 보편적인 윤리 원칙을 언급합니다.

만약 법이 이러한 원리를 위반하여 행동하게끔 강요한다면 법은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면 ‘사람의 생명은 가게 주인의 이윤보다 더 중요하며,

법은 사람의 생명과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한에서 지킬 가치가 있다’와 같은 반응을 보이는 것이죠.

728x90

도덕적 추론의 발달

후속 연구들은 아동이 성인으로 발달하면서 전인습적 수준에서 후인습적 수준으로 발달해 감을 발견해왔습니다.

문화적 차이

첫 두 수준은 다양한 문화권에 걸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지만

마지막 후인습적 수준의 출현 여부는 문화권마다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비판받아 왔습니다.

남성 중심의 이론

보살핌이나 배려보다는 정의를 상위가치로 보기 때문에 콜버그 이론은 남성 중심의 이론이며,

여성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덕을 고려하지 않은 이론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하인즈 딜레마를 보고 여러분은 어떤 판단을 하실 것인지 저도 궁금합니다~

다음으로는 발달심리학 마지막 파트인 피아제에 대해 다뤄보도록 할게요~!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