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예고드린대로 성격의 5요인에 대해 알아볼게요~
저 역시 공부할 때 굉장히 흥미롭게 공부했던 부분 중 하나였는데요.
여러분도 재미를 느끼실 수 있으면 좋겠네요~
2025.03.24 - [THERAPY/심리학개론] - 특질이론/ 성격심리학/ 심리학개론

Big Five
학자들은 사람들의 성격은 고유한 면을 가지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모두가 공유하는 기본적인 성격특성 또한
있어서 이를 통해 사람들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결과 나이, 성별, 인종, 문화권에 상관 없이 사람들은 대부분 보편적으로
다섯 가지의 큰 상위 성격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이들 다섯 요인들을 Big Five라 부릅니다.
OCEAN Big Five의 머릿글자를 따서 OCEAN이라 부릅니다.
• 개방성 Openness
• 성실성 Conscientiousness
• 외향성 Extraversion
• 우호성 Agreeablness
• 신경증 Neuroticism
특질요인
개방성 Openness
자신의 경험을 주도적으로 추구하고 평가하는지의 여부를 측정.
성실성 Conscientiousness
목표지향적 행동을 조직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목표지향적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정도를 측정.
외향성 Extraversion
대인관계에서의 상호작용 정도와 강도를 측정.
우호성 Agreeablness
사고, 감정, 행동에서 동정심부터의 적대감까지의 연속선상을 따라 개인의 대인관계 지향성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측정
신경증 Neuroticism
적응 대 정서적 불안을 측정.
• 심리적 스트레스, 비현실적 생각, 과도한 열망과 충동 등을 얼마나 나타내는지를 측정
해당요인
특질요인과 해당요인
5요인 이론은 유형론이 아닌 특질론으로서
특질요인의 해당요인들이 개인의 성격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을 지니는가를 중요시 여깁니다.
• ‘개방성이 있다, 없다’라고 말하지 않고 ‘개방성이 강한가, 약한가’라고 말합니다.
• ‘개방성이 강한가’라는 것은 특질요인(개방성)의 해당요인들(보수적인가, 자유로운가) 중
어느 쪽에 가까운가를 살피는 것을 말합니다.
• 각기 반대되는 개념의 해당요인들을 연속선상에서 살펴 (보수적인가, 자유로운가)
개인의 지향성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 이 5가지 요소들은 보통 50%를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예를 들어 성실성 수치가 80%라면 책임감과 질서 정연함을 남보다 중시 여긴다는 뜻이고,
외향성 수치가 5%라면 타인과의 교류보다는 고독함과 평정심을 즐긴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5가지 요인은 일상적인 용어를 통해 분류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해당요인
개방성 | 성실성 | 외향성 | 우호성 | 신경증 |
다양한 | 자제력 있는 | 사교적인 | 도움을 주는 | 근심하는 |
일정한 | 의지가 약한 | 위축된 | 비협조적인 | 평온한 |
인습적인 | 믿을만한 | 재미있는 | 신뢰하는 | 강인한 |
창의적인 | 믿을 수 없는 | 진지한 | 의심하는 | 상처를 잘 받는 |
보수적인 | 조심성 있는 | 말하기 좋아하는 | 따뜻한 | 안정된 |
자유로운 | 부주의한 | 말이 없는 | 무자비한 | 불안정한 |

뇌영역과의 연결성
외향성(Extraversion)
외향성은 긍정적인 자극에 대한 높은 반응성을 뜻합니다.
따라서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같은 긍정적인 자극에도 큰 즐거움을 느끼며 적극적으로 그것을 추구하려고 합니다.
•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복측피개영역(Ventral tegmental area)과 측좌핵(nucleus accumbens)영역의 반응성이 높습니다.(richard allen depue, 1999).
• 이 뇌 영역은 보상이 기대될 때의 쾌감 및 행동 동기와 관련된 영역으로,
외향성이 낮은 사람은 이 부분의 반응성이 낮고 따라서 보상을 위한 행동을 실천한 가능성 역시 낮습니다.
• 아이젠크는 내향성과 외향성이 대뇌피질의 각성 수준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는데요.
외향성자는 뇌의 망상계(reticuclar Formation)가 쉽게 자극되지 않기 때문에 강한 자극을 추구하고
내향성자는 그들의 대뇌피질이 매우 쉽게 적정 수준 이상의 수준으로 자극되기 때문에 독서나 조용한 활동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성실성(Conscientiousness)
성실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 전전두(dorsolateral prefrontal)와 안와전두(orbitofrontal)등 전두엽 부분의 잘 활성화됩니다.(Raluca Petrican, 2008)
• 이는 충동통제와 관련된 영역으로
이 부분의 활성도가 낮은 사람의 경우 충동적으로 행동하기 쉬우며 중독에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전의 영향
최근의 연구 결과는 성격의 요인들에 유전이 미치는 영향이 50% 이상이라고 주장합니다.
• 이처럼 유전적인 면을 강조하기 때문에 5요인과 연관된 요소들에서의 차이는 유전적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봅니다.
생물학적 기반
5요인 모델에서는 각 요인들이 생물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즉 개인의 유전(생물학적 기반)에 의해서 5요인을 모두 가지고 있고,
특정 요인의 더 강하고 약한 것은 이미 유전적으로 정해졌지만 심리적 발달을 하면서 개인적 차이가 생긴다고 보는 것이죠.
발달환경
기본적으로 생물학적인 경향성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기본적 성격은 타고 나지만
발달 환경이 그 유전자의 발현, 혹은 비발현에 영향을 준다고 봅니다.
•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여성의 경우, 유전적으로 외향성이 높게 타고 났음에도 불구하고,
억압적인 사회적 환경 아래서 발달하다보면 외향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성격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어린시절 저 역시 스스로를 소개할 때 빅5에 해당하는 성격들이 많이 나왔던 것 같아요~^^
'THERAPY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0) | 2025.03.31 |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8) | 2025.03.30 |
특질이론/ 성격심리학/ 심리학개론 (2) | 2025.03.28 |
성격의 유형론과 특성론/ 방어기제/ 심리학개론 (2) | 2025.03.27 |
매슬로우 5단계 욕구/ 인본주의/ 성격심리/ 심리학개론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