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RAPY/심리학개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발달심리학/ 심리학개론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오늘은 발달심리학 중에 프로이드 심리성적 발달단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발달심리학의 학자는 크게 프로이드, 에릭슨, 콜버그, 피아제 이렇게 4명의 학자로 볼 수 있는데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03.24 - [THERAPY/심리학개론] - 성격의 5요인(OCEAN)/ 성격심리학/ 심리학개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리비도 libido

삶 본능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식욕, 성욕 등과 같은 생물학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하며 성장과 발달 지향적입니다.

프로이드는 삶 본능(life instincts)에 나타난 정신에너지를 리비도라고 명명하였죠.

• 오늘날 리비도는 ‘성욕‘이라는 의미로 주로 쓰이지만

프로이드는 이를 단순히 남녀의 성적 관계로서가 아니라 인간에 내재된 에너지 전체를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리비도의 집중 cathexis

리비도가 어떤 한 가지 대상이나 사람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을 ‘리비도의 집중’이라 합니다.

프로이드가 성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겼던 삶 본능은 성(sex)과 관련되며,

그것은 단순히 남녀간의 성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쾌락을 주는 모든 행동이나 행동을 포함합니다.

리비도의 집중 부위

프로이드는 성격이 심리성적 발달단계에 따라 형성된다고 보았는데요.

심리성적 단계의 주요한 특징은 정신 에너지인 리비도가 신체 부위의 어디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다섯 단계로 구분됩니다.

구강기

항문기

성기기

잠복기

생식기

고착 fixation

인간은 출생하여 다섯 단계에 따라 성격을 형성하지만

때로 어떤 사람은 지나친 좌절 혹은 만족 때문에 심리성적 발달 단계의 어떤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리비도가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고착‘이라고 합니다.

구강기 oral stage (출생~1세)

이 시기에 유아의 리비도는 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유아는 입을 통해 빨고, 먹고, 깨무는 행위를 통해 긴장감소와 쾌락을 경험합니다.

구강 수용적 행동 oral receptive behavior

유아로서 구강 욕구가 지나치게 만족되면 성인이 되어

세상에 대하여 지나치게 낙관론을 갖거나 의존적인 성격을 갖는 경향성이 있습니다.

구강 공격적 행동 oral aggressive behavior

구강공격적 행동에 고착된 사람은 지나친 비관론, 적의성, 공격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항문기 anal stage (1~3세)

이 시기는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됩니다.

배변훈련

배설물을 방출하는 것은 아이에게 쾌락이지만,

배변훈련의 시작과 함께 아이는 쾌락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만약 배변훈련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으면 아이는 ‘항문 공격 성격’이나

‘항문 보유 성격’의 두 가지 방식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항문 공격 성격 anal aggressive personality

부모가 하지 말라고 한 시간과 장소에 배변을 함으로써 부모의 요구를 거절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아이가 이러한 행동을 좌절을 감소하기 위한 만족스러운 행동으로 여기고 자주 하면 항문 공격 성격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항문 보유 성격 anal retentive personality

배설해야할 변을 보유하면서 만족을 느끼고 부모를 조작하는 아이는 고집이 세고 구두쇠로 특징되는

항문 보유 성격 발달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남근기 phallic stage (성기기, 4~5세)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 중 성격형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가 남근기인데요.

근간에는 남성 중심적 용어라 하여 ‘성기기’라는 용어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 남녀 어린이 모두가 생식기에 관심을 갖고,

이성의 부모로부터 감각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며 동성의 부모를 경쟁자로 보게 됩니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엘렉트라 컴플렉스)

근친 욕망

이 때에는 리비도의 초점, 즉 쾌락의 초점이 항문에서 성기로 옮겨집니다.

이 단계에서 아이는 성기를 만지거나 환상을 통해서 쾌락을 느낍니다.

남근기의 갈등은 아이의 반대 성인 부모와 관련한 근친상간 욕망에 대한 환상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오이디푸스 갈등 oedipus complex

남자아이가 반대 성인 어머니에 대한 무의식적 욕망에서 비롯된 갈등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입니다.

남자아이는 아버지를 어머니에 대한 경쟁자이며 위협적 존재로 여깁니다.

• 심리발달과정의 고비이며, 이 시기를 해결하는 방법에 따라 어른이 된 뒤의 성격이 결정됩니다.

거세 불안 castration anxiety

연약한 아이가 힘있는 적대자인 아버지로부터

자신의 성기가 잘려지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갖게되는 것을 거세불안이라 합니다.

아이는 같은 성의 부모가 하는 행동을 따라하면서 불안을 극복하는 법을 배웁니다.

초자아 형성

남자아이는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함으로써 이러한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극복하고

사회적 규범, 도덕적 실체라고 할 수 있는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초자아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시기를 적절히 보내면 성적 정체감의 확립, 건전한 호기심과 지식 욕구로 초자아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거나 욕구충족이 지나친 경우 경쟁적, 가학적, 연장자에 대한 편견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엘렉트라 컴플렉스 electra complex

그리스 신화에서 엘렉트라는 동생을 설득해서 아버지를 살해했던 어머니와 어머니의 정부를 살해하게 한 이름에 유래하였습니다.

남근기(성기기) 중에 아버지는 여자아이의 애정의 대상이 됩니다.

남근 선망 penis envy

여자아이는 자신의 성기를 잃었다고 믿고 남자아이는 자신의 성기를 잃을까 두려워합니다.

여자아이는 어머니와 동일시를 통해 엘렉트라 컴플렉스를 해결하고 초자아를 형성합니다.

잠복기 latency period (6세~사춘기)

잠복기는 실제적으로는 심리성적 단계가 아닙니다.

• 이 시기에 아동은 외부대상, 즉 장난감이나 친구 등에 집중하여 이제까지 내면에서 쾌락을 찾던 방식을 탈피합니다.

휴면기

이 시기에 성적 본능은 휴면을 취합니다.

아이들은 이 기간동안 학교 활동, 취미, 스포츠, 우정관계 등을 통해 성적 충동을 승화시키죠.

생식기 genital stage

생식기는 사춘기에 시작합니다.

이 단계의 발달 특징은 급격한 신체적 성장과 더불어 호르몬의 변화입니다.

성역할 정체감

소년과 소녀는 서로 다른 성적 정체감을 인식하면서 성 및 대인관계의 욕구를 충족할 방법을 찾습니다.

생식 능력을 갖춘 존재로서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만족을 추구하며

직접적으로 성행위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자위행위를 통해 긴장을 해소하며 쾌락을 경험합니다.


발달심리학 중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프로이드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4.07.01 - [ART THERAPY 이론/미술치료학개론] - 정신분석적 미술치료_정신역동적 접근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