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THERAPY 이론/미술심리진단평가

아동 그림의 발달/ 미술심리진단평가

728x90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언어가 덜 발달되고 감정이 미분화된 아동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검사들이 있습니다.

그중 그림 검사를 알아볼게요~

2025.01.07 - [THERAPY/미술심리진단평가] - 그림 검사에 대한 이론적 접근/그림심리진단평가


아동화

아동화 이해

아동은 성장도상에 있고 발달해 가고 있는 존재이자, 교육을 받으며 자라 가고 있는 존재입니다.

아동이해는 발달적 이해와 교육적 이해가 되어야 합니다.

더욱이 가능성의 이해도 함께 되어야 하죠.

아동이해의 심리적 기술은 행동관찰(계절에 맞는 옷차림 등)과 언어적 표현, 투사적 기법(아동화)이 있습니다.

 

발달적 측면에서의 아동화

아동화의 발달상의 특징연구는 아동 개인차와 정신발달 연구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게르센슈타이너(1905), 버트(1921), 뤼께(1927), 폴라이데러(1930), 엥(1931),

리드(1947), 로웬펠드(1964), 켈록(1967) 등 발달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아동화는 긁적이기(Scribbling), 모양(Shape), 윤곽(Outline), 도안(Design)의 순서로 발달합니다.

 

심리진단으로서의 아동화

막코버(1949)는 성격진단의 도구로 그림을 사용하였습니다.

아동은 언어를 대신하는 그림을 통해 그들의 내적 욕구, 개념,

생활경험 표현과 환경에 대한 지각을 말합니다.

그림은 자아상(self-image)의 표현입니다.

그림을 심리진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은 많았으나.

대체로 그 기준이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하면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높은 객관적 방법의 그림 심리 해석은 미흡하였습니다.

 

아동화 연구의 역사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아동화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 리치(1887): 아동 그림에 관한 해석

- 베네스(1893), 헤릭(1893): 아동화 관련 논문

- 1920년부터 아동화 연구가 활발해집니다.

  • 버트(1921): 아동그림 발달의 7단계
  • 구디너프(1926): 그림에 의한 지능측정

- 벅(1948): HTP 그림 개발

- 마코버(1949): 성격진단 도구로 그림 활용

- 1950년 이후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동화 연구를 했으나 연구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습니다.

- 해리스(1963)는 구디너프 연구를 기본으로 인물화 검사 발전시켰습니다.

- 로웬펠드(1964)는 아동 그림 발달의 4단계를 만들었습니다.

728x90

그중 로웬펠드(1964)의 아동미술 발달단계를 알아볼게요~!

1) 난화기(2세~4세)

무질서적 난화기

그림특징 공간표상
근육 운동적 즐거움 그리는 종이 표현 활용
손 전체로 도구를 잡기 때로는 종이 밖으로 긁적거리기
선을 만들기 위해 팔 전체를 흔들기 종이에 이미 긁적거린 것을 무시하고 그 위에 긁적거리기

조절된 난화기

그림특징 공간표상
아주 작은 표시 종이 안에서만 그리기
반복적 행동 이미 그려진 것 주위에 그리기
손목 동작 사용 어떤 부분에 집중해서 그릴 수 있음
원을 모방할 수 있음  

명명 난화기

그림특징 공간표상
알고 있는 사물과 관련해서 표시 목적이 있는 긁적거리기
다양한 선의 표현 이미 그린 것을 활용
손가락 사이에 도구를 잡기 선이 물체 모양의 윤곽이 됨
그리는 도중에 사물을 바꿀 수 있음  

 

2) 전도식기(4세~7세)

그림특징 공간표상
사물을 표현하는 모양은 기하학적이며
전체에서 그 각각을 분리해보면 무엇인지 의미가 없음
물체들의 위치는 종이 속에 떠다니는 것 같음
물체의 크기와 위치는 주관적으로 정해짐 종이 위치를 돌리거나 바꿔가면서 그림을 그림
그려진 물체들이 서로 관계가 없음 물체들의 크기가 서로 관련지어서 비율화되어 있지 않음
미술은 자신의 의사소통이 됨 물체는 그리기 가능한 공간에 맞게 찌그러짐
4세에 사각형, 5세에 삼각형을 모방할 수 있음  

 

3) 도식기(7세~9세)

그림특징 공간표상
계속적으로 반복되어지는 형태 개념의 발달 물체가 놓여지는 기저선을 설정
표현형식은 특별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할 때만 변화됨 하늘을 나타내는 선과 공중을 나타내는 공간선(기저선) 등장
대담하고 직접적이며 평면적인 표상 중복이 없음
그림은 어린이의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지식을 반영함
즉, 경험에 따라 표현됨
주관적 공간 표상이 보편적임
  X-ray 그림
  시간과 공간의 연합(만화식)
  환경의 상징화

 

4) 또래 집단기(9세~11세): 초기사실기

- 사실화기

- 감추어진 부분은 나타내지 않고 형태를 중첩시킴

- 원근감이 나타남

- 사람의 얼굴을 세부적으로 그리게 되고(ex. 눈을 동그랗게 그리기보다 길게 그림) 딱딱하지만 의복을 강조함

- 성별의 차이도 확실하게 표현함

- 협동제작과 조별 노력에 흥미를 가짐

- 주관적 경험에 따라 색을 사용하므로(인상파적인 그림) 색 자체보다 그림을 그리게 된 경험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해야 함

 

5) 의사실기(11세~13세)

- 사춘기로 논리적 사고와 합리적 표현

- 표현과정보다 작품의 완성을 중요하게 생각함

- 어린이 스스로 작품에 대해 점차 비판적으로 되어 자발적인 활동으로서의 미술의 마지막 단계

- 외계 인식적 지능에 표현 기능이 따라가지 못하는데 갈등을 느껴 미술표현이 점차 침체되는 시기

- 원근과 입체표현이 나타남

- 깊이로 표현 공간의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됨

- 인물화는 섬세하게 세부적으로 표현하며 성별 특징을 부각시켜 표현함

 

6) 결정기(14세~17세): 창의적 활동의 위기

- 자기를 돌아보는 시기로 자기비판적이고 내성적이며 이상적인 시기로 사회와 자신과의 관련 속에서 성장하는 시기

- 자신의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거나 색채의 공간을 주관적으로 표현

- 외관, 비례, 명암, 배경, 원근 등 예술적 요소를 중시

- 그림이 세 가지 유형으로 결정지어지는 시기(시각형, 중간형, 촉각형)

  • 시각형: 환경과 자신의 눈을 통해서 보이는 실제와 같이 그리려 함, 묘사능력이 좋음
  • 중간형: 시각형과 촉각형의 중간형
  • 촉각형: 신체 감각이나 주관적인 경험에 관련지어 표현하며 창의적 활동 위주. 자아상을 피하는 경향

이렇게 아동화를 이해하기 위해 임상에서 많이 쓰이는 로웬펠드의 미술발달단계를 중점적으로 알아보았어요~

다음 포스팅은 HTP그림검사 해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