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THERAPY 이론/미술심리진단평가

발테그 그림검사(WZT)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728x90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이번에는 발테그 그림검사를 들고왔어요~

함께 알아봅시다^^

2025.01.14 - [THERAPY/미술심리진단평가] - 별파도 그림검사(SWT)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발테그 그림검사

발테그 그림검사 역사

1939년 발테그에 의해 개발된 그림검사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베텔이 발테그 그림검사와 필적(필압)을 결합시켜 분석하였습니다.

이후 아베랄르멘에 의해 계승되어 개발 및 연구되었습니다.

발달 또는 지적 장애인에게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현재 임상에서 적게 쓰이는 편이나 그림검사를 많이 접한 내담자, 저항이 심한 내담자에게 적용하기 좋습니다.

발테그 그림검사는 단독으로 해석하지 않고 SWT(별파도 그림검사), 바움(나무) 검사와 함께 실시 후 해석합니다.

특징

- 자극적인 도형이 그려진 8개의 굵은 테두리로 구획된 영역이 있는 검사용지에 그림을 그립니다.

- 자극도에 대해 내담자가 어떤 인상을 받고, 무엇을 그려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 자극도와 연결된 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이나 태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림이 가진 의미나 상징과 함께 필적학적인 해석을 겸하고 있어 풍부한 진단상의 가치가 있습니다.

- 자극그림이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림을 그리기가 쉽습니다.

- 8개의 그림과 내용, 그림의 순서 등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놀이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검사를 의식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습니다.

실시방법

준비물: 자극도가 그려진 용지, 연필, 지우개

이 8개의 테두리 모두 안에 무엇인가를 그려주세요.
  • 주의사항

- 8개의 틀이 그려진 용지와 연필을 건네면서 지시어를 말합니다.

- 각자의 틀 안에는 자극도가 그려져 있지만, 이 자극도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해서는 안됩니다.

  • 순서대로 그리도록 하는데 그리기 힘든 것은 나중에 그려도 됩니다.
  • 제일 마지막에 그린 것을 기록해둡니다.
  • 그림이 완성된 후, 애매한 부분에 대해서는 질문을 통해 명확한 답을 얻도록 합니다.
728x90

WZT 검사지

분석방법

1. 자극도에 대한 반응

자극도를 활용하는가 및 그 성질에 대해 반응하고 있는가?

- 자극도를 이용: 실현인지 기능을 의미(현실적인지)

- 자극도를 무시: 내적 실현을 중요시, 외부현실로부터 고립되어 있을 가능성, 내면적 갈등 상황 상태

- 대부분 자극도에 의해 상이한 반응이 남

(1, 2, 7, 8자극: 곡선적, 생명력이 있는 것이 그려지는 경향/

3, 4, 5, 6자극: 직선적, 사물이 그려지는 경향)

- 자극도에 반응하지 않고 그림: 내담자의 주관성이 강함을 시사함

자극도
번호
자극도의 특질 주로 나타나는 그림의 주제 유사
자극도 번호
1 중심적, 집약적 특성 때문에 자아와 관련 중심성, 자기, 자아와 관련된 주제들이 나타남
(자아와 안심)
8
2 흘러내리는 성질때문에 유동적인 표현으로 반응됨 운동, 운직임의 감정 등과 관련된 주제
(감정과 감수성)
7
3 막대기 형태로 계단과 같은 느낌이 듬. 한 계단씩 밟고 올라가는 느낌으로 규칙성과 상승의 의미와 관련 상승, 노력, 의욕 등과 관련된 주제
(달성과 긴장)
5
4 작지만 사각형의 검정색이 약간 무거운 느낌을 주므로 무의식의 영역과 관련 하중, 무게, 곤란, 문제성 등과 관련된 주제
(문제와 통합)
6
5 올라가려는 것과 막는 역할의 표현이 동시에 나타나므로 방해받았다는 느낌을 갖게 함. 따라서 갈등과 긴장의 의미를 함축 갈등, 긴장, 능력 3번 자극도에 필요한 에너지는 어떠한지 등과 관련된 주제 표현
(달성과 긴장)
3
6 횡선과 중선으로 별 관련성이 없어보이나 이 두개의 선이 합해지면 통일성과 전체성을 느낄 수 있음. 완전과 통합성의 테마에 맞는지 살펴봄 완전성, 통합성과 같은 주제
(문제와 통합)
4
7 섬세한 점선의 특성 때문에 민감성을 느끼게 되므로 감수성과 민감성의 테마를 담고 있음 감수성과 민감성 등과 관련된 주제들이 나타나는 그림
(감정과 감수성)
2
8 덮어 씌우듯 편안하고 넉넉함을 느끼게 하므로 안심과 관련 편안함, 느긋함, 안심 등과 관련된 주제
(자아와 안심)
7

 

2. 그림 분석(그림 착상 분류)

어떠한 패턴의 그림이 그려지는가?

1) 형식적인 패턴

- 미학적(장식적): 리듬이나 질서가 있고 창의적인 선 및 무늬가 있음, 감성적

- 추상적(기학적): 의미없는 형태나 선, 기하학적인 도형, 이성적

2) 요점만 있는 패턴

: 이성적인 경향, 외향적이며 실제적인 태도와 사고가 우세

- 정적 사물

- 동적 사물

3) 회화적 패턴

: 감정적 이입의 표현, 자기가 경험한 것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4) 상징적인 패턴

: 자신의 갈등을 무의식적 표현, 감정의 표현과 정신적인 의미부여가 내면화된 경우

 

3. 필적 분석

선의 특징 적극적인 면 소극적인 면
강한 압력의선
(긴장이 강함)
의지력, 실천력, 활동력, 결단성, 저항력, 강인성, 자기통제 정직, 무분별, 고집, 우둔, 억압, 수용력의 결핍
약한 압력의 선
(긴장이 약함)
능숙함, 적응력, 감동적, 근면, 낙관성 약한 의지, 결단성 부족, 활동성 부족, 목적결여, 낮은 저항력
가는 선 민감성, 감상적, 냉담, 지적 개관성의 결여, 개방성의 부족
굵은 선 독창성, 강한 에너지, 감정적 충동성, 냉정성 부족, 돌발적
무수정 선 생명력, 활력, 자신감 냉담, 무관심, 유연성 결여
수정한 선 부드러움, 민감성 활력 부족, 자신감 부족, 억제

- 부드러운(섬세함) 연필선: 감수성, 의지력이 약함, 수동적

- 예민한(날카로운) 연필선: 지적 예민성, 이성적인 능력, 통제력

- 온화한 연필선: 감정적, 감각적, 관능성

- 확고한 연필선: 에너지 강함, 자발적, 본능적

 

필적에 나타난 장애징후

  • 연약한 필적: 상처받기 쉽고 파괴되기 일보직전. 과도한 감수성, 지나치게 상처받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는 과민성을 시사함
  • 무른 필적: 4B연필같이 번지듯 표현.이성적인 통제를 상실해버린 불안정한 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남. 소위 추종자 역할
  • 딱딱한 필적: H연필과 같이. 그린 선이 가늘고 상당히 강한 힘이 들어있음. 의지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냉정한 통제력이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음
  • 난잡한 필적: 그린 선이 두껍고 강한 힘이 들어있음. 방향을 잃어버린 충동성. 무제한의 본능. 독선적, 충동적, 돌발적, 제멋대로이기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행동을 나타냄
  • 검게 고착화된 필적: 심리적 갈등, 또는 물건이나 장소에 무의식적으로 집착하고 있음. 현재 진행 중인 갈등
  • 잘게 끊긴 필적: 스트로크 선처럼. 신경질적인 자기제어 시사, 완전히 조각난 필적, 자기성찰의 수단으로 이용. 지나치게 자기성찰을 한 결과 선을 연결해서 그을 수 없음.

 

4. 생활상황, 기타

: 내담자의 생활상황내의 문맥 안에서 파악해봄

  • 기타

① 최후에 그린 것을 묻습니다. 나중으로 미루어 그렸다는 것은 그 사람에게 있어서 현재 다루기 힘들고 꺼리는 감정이 있는 주제입니다.

② 무슨 그림인가를 묻습니다. 검사를 받고 있는 사람(내담자)에 의한 의미해석을 중시합니다.

좋아하는 그림, 싫어하는 그림을 묻습니다. 내담자에 의한 평가나 기타 연상되는 것들을 묻습니다.


이렇게 발테그 그림검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흔히 사용하는 그림검사가 아니다보니

많은 그림검사를 경험해본 대상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발테그를 정서파트에 적용하여 상호작용 목적으로 진행해보았는데요~ 여러분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2024.09.23 - [ART THERAPY 정서 파트/정서 개인] - 미술치료 프로그램_ 자극도를 활용한 상호작용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