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THERAPY 이론/미술심리진단평가

새둥지화 검사(BND) 실시 및 해석/ 미술심리진단평가

728x90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앞서 애착 유형에 대해 알아봤으니 적용이 가능한 새둥지화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그럼 함께 알아봅시다^^

2025.01.15 - [THERAPY/미술심리진단평가] - 새둥지화 검사(BND)의 애착유형 / 미술심리진단평가


새둥지화

새둥지화(Birds Nest Drawing, BND)

새둥지화는 Kaiser(1996)의 연구에서 애착안정성의 유용한 임상적 진단도구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음이 검증되었습니다.

 

목적

내담자로 하여금 내면화된 불안정한 애착작용모형을 재구조화 또는 교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손상된 애착의 치료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관계성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통찰 반응을 유발합니다.

 

실시방법

준비물: 화지, HB연필, 지우개, 색연필

새둥지를 그리세요.
혹은
새둥지를 연상하고 관련된 그림을 그리세요.

시간은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며 내담자의 질문에 유일한 답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Kaiser의 애착지표와 채점준거

1. 내용(contents)

- 둥지에는 내용물이 있는가?

2. 나무(tree)

- 둥지는 나무에 의해 지지받고 있는가?

3. 바닥(bottom)

- 둥지에 바닥이 있는가?

4. 담을 가능성(able to contain)

- 어떤 내용물이 들어있든 떨어지지 않도록 둥지는 기울지 않는가?

- 정신건강/ 병리학 관련 요소

5. 공간(space) 사용

- 종이를 ⅓이상 사용하였는가?

6. 배치(placement)

- 둥지를 중심에 두었는가?

7. 색상(colors)

- 3~4개의 색상을 사용하였는가?

8. 선의 질(line quality)

- 선은 적절한가?

9. 둥지(nest)의 크기

- 여백이 ⅓이하인가?

10. 아기새들(baby birds)

- 아기새들이 들어있는가?

11. 부모새들(parent birds)

- 부모새들이 들어있는가?

12. 아기새나 부모새 중 하나(either baby or parent birds)

- 아기새나 부모새 중 하나가 들어있는가?

13. 두 부모새들(two parent birds)

- 두 부모새들이 들어있는가?

14. 알들(eggs)

- (새는 없고) 단지 알들만 들어있는가?

728x90

애착지표 및 해석

이미애(2004). 미술치료가 불안애착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지표 안정애착수준 해석
아기새만 있음 낮은 하위 안정애착 수준 부모 새가 아기새를 두고 가버린 그림은 중요한 타인들에 의한 지지의 결여를 느낀 것을 무의식으로 표현
부모새만 있음 하위 안정애착 수준 부모 혹은 중요한 타인들로부터 엄격한 통제의 경험에 의해서 지지적 환경의 결여를 무의식적으로 표현
부모새, 아기새 함께있음 상위 안정애착 수준 부모 혹은 중요한 타인들로 부터 적절한 양육환경 속에서 자라 안전 애착을 보임
알들만 있음 매우 낮은 하위 애착 수준 알을 따뜻하게 부화할 부모새가 없는 것은 정서적인 지지가 없는 양육자와 초기 생활을 한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냄
둥지가 비워져있음 매우 낮은 애착 수준 둥지가 비어있는 이미지는 고립(분리)되고 주변이나 지지하는 환경이 없음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함
둥지가 나무에 의해 지지받고 있음 낮은 지지: 낮은 애착
높은 지지: 높은 애착
나뭇가지 위 둥지그림은 지지적인 환경의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낸 것임. 곧 둥지 안 내용물이 쏟아질 것 같은 이미지, 가지가 너무 약해 가지가 부서질 것 같은 이미지는 낮은 안정 애착 수준임
공간사용 공간 활용이 ⅓이상일때 안정애착
그렇지 못할때 불안정 애착
공간 활용은 현재 삶의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우울과 위축되고 희망없고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아동은 낮은 애착 수준임.
이러한 아동은 여백이 많거나 내용이 단순함
선의 질 강한 선: 공격성을 나타냄
진한 선: 불안을 나타냄
약한 선: 자신감 없음, 폐쇄적
매우 약한 선: 부적응적임, 우유부단하고 두려움이 많음
불연속적인 스케치: 소심함
선의 질은 과거의 애착 경험에 따른 현재 행동상태를 나타냄.
정서적 지지환경 박탈경험이 많았던 아동의 선은 매우 강하게 혹은 극도로 약하게 나타남
둥지의 크기 작은 둥지 및 과대 둥지
: 낮은 안정애착 수준
적절한 둥지
: 높은 안정애착 수준
엄격한 양육의 경험을 한 아동은 작은 둥지를 표현하여 환경의 압력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함.
너무 큰 둥지의 그림은 방임 혹은 위협적인 환경의 경험에 의해 가지고 싶어하는 무의식적인 표현임

초기 애착으로부터 미래발달의 예측

  • 애착 안정성의 차이가 훗날 친밀한 관계, 자기이해, 심리적 장애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즉, 초기애착이 성격과 정신병리의 근거가 됩니다.
  • 안정된 애착을 형성한 아이들이 전반적 사회생활 능력 면에서 좀 더 우월하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 Carlson(1998)은 혼란애착은 훗날 심리적 장애를 가장 강력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 애착형성이 불안정한 영아는 성장 후에 정서적으로 불안정, 공격적 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습니다.

애착과 정신병리

  • Bowlby(1944)가 청소년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생의 초기의 관계 연구

- 영아기의 불안정 애착과 혼란된 애착은 정신병리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 타인과의 관계에서 더 많이 경계하며, 더 많이 화를 내고, 또래, 교사, 성인들과 조화로운 관계를 성립하는 것이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 Waters et al(1985) 연구

- 불안정한 애착과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문제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 Sroufe & Waters(1977) 연구

- 불안-회피 애착된 아동은 또래에게 더 공격적으로 행동하고, 환경과 대인관계가 주는 단서를 잘못 읽으며, 남을 괴롭히거나 적대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Greenberg et al(1991) 연구

- 불안정 애착, 혼란된 애착과 적대적 반항장애 간의 연관성 연구

- 적대적 반항장애로 의뢰된 집단의 80%가 불안정 애착을 보였습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애착은 성인이 되어 인간관계 및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중요하다는 것도 과장이 아니지만, 나의 애착이 불안정 애착이라고 해서 절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의 애착 유형을 알고 꾸준히 바꿔보려 노력한다면 애착유형은 바뀔 수 있는 것입니다.

728x90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