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로운 챕터에서 인사드리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새로운 이상심리학 파트는 제가 정말 재밌게 공부했던 분야 중 하나입니다~
흥미로운 내용들 함께 살펴보아요^^
이상심리학이란,
기능의 비정상적 양상을 기술하고 예측하여 설명하고 변화시키기 위하여 이상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말합니다.
즉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때 이 분야에서 원인을 탐색해 보곤 하죠.
'이상'에 대한 정의가 수없이 많이 제시되었지만 그 중 모든 사람이 다 받아들이는 정의는 없습니다.
대다수 이상심리 정의의 공통된 특징을 적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4D
- 일탈(Deviance)- 남다르고 극단적이며 심지어 기이함
- 괴로움(Distress)- 불쾌하고 불편함
- 기능장애(Dysfunction)- 건설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움
- 위험(Danger)- 자신이나 타인을 위험에 처하게 함
이상심리 판별기준
1) 주관적인 고통
- 주관적으로 얼마나 고통스러운지의 관점에서 평가합니다.
- 한계점: 어떤 심리장애는 주관적 고통이 심하지 않습니다.
(ex. 조증, 반사회성 성격장애, 조현병, 아동기 청소년 등)
2) 심리적 부적응
-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특별히 적응이 어려운 경험을 하는 사람들이 주로 겪습니다.
(ex. 초등학교 입학, 결혼, 군입대 등)
- 한계점: 어떤 심리장애 예컨대 psychopath는 개인의 부적응이라는 관점에서는 이상하다고 판단할 수 없으나 사회에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는 이상행동에 속합니다.
또한 심리적 부적응은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3) 통계적 일탈
- 정상분포에서 벗어났을 때에 해당합니다.
- 평균에서 ±2SD
- IQ 평균 100, 표준편차 15, <IQ70, <IQ13
4) 사회적·문화적 규준의 위반
- 사회적·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은 이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한계점: 어떤 문화권에서는 특정 행동을 정상으로 보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는 이상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ex. 누드촌, 동성애 등)
5) 위험성
- 자신 혹은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해당합니다.
- 한계점: 위험성만 가지고 이상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상심리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①이상행동의 임상적 특징 및 진단
② 이상행동의 원인
③ 이상행동의 경과 및 치료
이상심리의 분류 및 진단체계
1. 이상행동의 분류
- 18세기: 조증, 울증, 치매, 광증
- 19세기 말: Krapelin(1899)은 16개 정신 장애 범주 소개
- 1893년: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ICD)
- 1948년부터 세계보건지구(WHO)에서 관여(ICD-6)
- 1952년: 최초의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 체계가 나타났습니다. - 106개 장애
2. 현재 진단 분류체계
- DSM-5: 300개 이상의 진단
3. 분류의 장점
- 전문가 간에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졌습니다.
4. 분류의 단점
- 낙인(Stigma)과 편견(Stereotyping)의 소지가 있습니다.
첫 시간은 이상심리란 무엇인지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 DSM-5에 기반한 정신장애에 대해 하나씩 풀어보도록 할게요~!^^
'THERAPY >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5 신경발달장애1 / 이상심리학 (0) | 2025.02.23 |
---|---|
이상심리학 이론적 입장 / 이상심리학 (2) | 2025.02.22 |
이상심리학 모형 / 이상심리학 (2)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