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말씀드린 대로 오늘은 이상심리학에 대한 이론적 입장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미술치료학개론에 올린 내용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 설명과 함께 링크 첨부할게요^^
2025.01.30 - [THERAPY/이상심리학] - 이상심리학 모형 / 이상심리학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 인간 본성에 대한 기본가정
- 인간의 가장 기본적 욕구와 속성은 무엇인가?
- 인간의, 성격과 행동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원인
- 인간은 왜 어떻게 불행과 부적응에 빠져드는가?
- 특정한 정신장애를 나타내는 원인은 무엇인가?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치료와 예방
- 불행과 정신장애는 어떻게 치유될 수 있을 것인가?
- 불행과 정신장애를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1. 정신분석적 입장
⁕ 심리결정론(Psychic Determinism)
만 5세 이전의 욕구가 충족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달라짐
⁕ 무의식의 존재
⁕ 성적, 공격적 욕구
⁕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
'내가 그 욕구를 느꼈는지' - '나'의 초점
대인관계론의 부모와 나의 경험을 말하는 것이 아님
⁕ 성격구조이론
원초아(Id): 욕구 충족, 1차 과정
자아(Ego): 현실고려, 2차 과정, 방어기제
초자아(Superego): 사회적 윤리, 자기이상
성격구조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두 개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4.07.01 - [ART THERAPY 이론/미술치료학개론] - 정신분석적 미술치료_정신역동적 접근
2025.01.07 - [ART THERAPY 이론/미술심리진단평가] - 그림 검사에 대한 이론적 접근/ 미술심리진단평가
⁕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순기(입이 주는 즐거움, 만족감) - 항문기(18개월~3세, 대소변 가리기 훈련) -
남근기(만 3세~5세, 성기에 관심, 모델링, 초자아 발달) - 잠복기 - 성기기
⁕ 원인론
무의식적 갈등이 이상행동을 유발한다고 주장합니다.
성장 과정의 갈등과 성격구조의 문제가 원인으로
자아기능의 약화, 미숙한 방어기제 등을 말합니다.
⁕ 치료 원리와 기법
무의식의 의식화, 자아의 강화를 강조합니다
'Id가 있는 곳에 Ego가 있게 하라.'(즉, 내 욕구를 알게 하고 어떻게 해소할 건지 찾아라)
자유연상, 꿈 분석, 전이분석, 저항 분석 등이 있습니다.
2. 행동주의적 입장
‣ 기본가정
인간의 모든 행동은 학습된 것이다.
‣ 학습의 원리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적 학습(모델링)
위에 대한 원리가 궁금하시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4.07.05 - [ART THERAPY 이론/미술치료학개론] - 행동주의 미술치료_행동, 인지, 발달적 접근
‣ 원인론
부적응 행동 역시 학습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 치료 원리
부적응 행동을 제거하고 적응행동을 학습합니다.
‣ 치료방법
행동치료, 행동수정, 소거, 체계적 둔감법, 행동조성법 등이 있습니다.
3. 인지적 입장
✓ 기본가정
인간은 세상을 심리적으로 구성하는 존재이며, 인지(Cognition)가 감정과 행동을 결정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인간은 외부사건에 의해서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한 견해(View)에 의해서 고통받는다고 하였죠.
✓ 원인론
정신장애는 부적응적 인지의 산물이라고 보았습니다.
자신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 사고, 인지적 왜곡: 비현실적 사고,
비합리적/역기능적 신념(ex. 나는 능력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해.)
ex. 우울에 대한 3개의 인지적 왜곡 - 나에 대한, 내 능력에 대한, 환경에 대한
✓ 치료원리
부적응적 인지를 적응적 인지로 대체하고
현실적 사고와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원리입니다.
✓ 치료방법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CBT)
치료방법에 대한 원리와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2024.07.05 - [ART THERAPY 이론/미술치료학개론] - 인지행동 미술치료_행동, 인지, 발달적 접근
4. 생물/의학적 입장
⊹ 기본가정
인간의 정신은 신체적 요인(뇌)에 의해 결정된다고 봅니다.
ex. 변연계 손상은 감정조절이 되지 않고, 전두엽(Frontal Lobe)은 ADHD 및 조현병과 관련이 있으며,
측두엽(Temporal Lobe)과 뇌간(Brain Stem)은 치매와 관련이 있습니다.
⊹ 원인론
정신장애는 뇌의 이상이며 유전적 요인, 뇌의 구조적 손상, 뇌의 생화학적 이상(호르몬, 전달물질 이상 등)이 있습니다.
⊹ 치료 원리
뇌의 화학적 정상화, 구조적 손상 치료
⊹ 치료 방법
약물치료, 전기충격치료, 뇌 수술 등이 있습니다.
5. 대인관계 입장
- 원인론
설리반(Sullivan)
서로 다른 대인관계 유형에 따라 성격이 발달하는데,
발달과정에서 장애를 겪으면 이상행동의 원인이 된다고 봅니다.
ex. 애착 손상
- 치료 방법
새로운 대인 관계를 학습합니다.
6. 통합적 입장
- 취약성 스트레스 모델(Vulnerability- stress model)
개인의 취약성(유전적 요인, 뇌의 구조적 이상, 성격특성, 대처방식, 재인기술, 인지도식, 역기능적 신념)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신체적 질병, 대인관계 스트레스, 실패, 위협, 사회적 변화, 천재지변)가
매개요인(신경전달물질 변화, 부적응적 사고 증가, 미숙한 대처행동)이 되어 심리장애를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상심리학에 대한 큰 틀에 대해 짚어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부터는 DSM-5에 기반한 장애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THERAPY >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5 신경발달장애1 / 이상심리학 (0) | 2025.02.23 |
---|---|
이상심리학 모형 / 이상심리학 (2) | 2025.02.21 |
이상심리학이란?/이상심리학 이론적 모델 (2)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