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 미술치료사입니다!
전 포스팅에 이어서 신경발달장애 나머지 부분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순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특정학습장애, 운동장애 순입니다.
2025.01.31 - [THERAPY/이상심리학] - DSM-5 신경발달장애1 / 이상심리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1) ADHD의 임상적 특징
필수 증상은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입니다.
언어, 운동, 사회적 발달 지연이 동반됩니다.
ADHD 아동은 욕구 좌절에 대한 인내력이 낮고, 과민성, 불안정을 보입니다.
까칠하고 예민해보일 수 있구요.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약 2배 정도 더 많이 나타납니다.
4세 이전에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과 정상적인 행동을 구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입학했을 때 이런 증상이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지시에 따르지 않고 과격하게 노는 등 위험한 행동을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ADHD의 원인
기질적인 원인으로는 행동 억제능력의 부족, 조절력과 통제감 부족, 부정적 정서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극소 저체중(1,500g) 출생 아동에게서 ADHD 위험이 2~3배 더 큽니다.
아동학대, 방임, 위탁 양육을 경험한 아동들에게서도 많이 나타나죠.
출생 시 미세한 뇌손상(minimal brain dysfunction)이나 출생 후의 고열, 감염, 독성 물질(ex. 납),
대사장애, 외상 등으로 인한 뇌손상, 태아기 알코올 노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비정상적 활동과 뇌의 전두-선조체 영역의 비정상을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3) ADHD의 치료
약 80%가 약물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메틸페니데이트(약물명 Ritalin) 약물이 효과적입니다.
약물치료 외에 주로 행동치료가 사용되는데요.
행동치료는 조작적 조건 형성 원리나 사회 학습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강화를 받은 행동은 빈도가 더 많아지고, 강화를 받지 못하거나 처벌을 받은 행동은 소거가 되는 원칙에 근거해서 ADHD아동들이 보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소거합니다.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 aloud)와 같은 인지치료 프로그램도 함께 적용되기도 하는데요.
이 프로그램은 문제에 대해 스스로 언어화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행동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ADHD만 있는 경우는 30%에 해당하며 다른 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는 발달치료보다 정서치료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기도 합니다.
더 자세히 다룬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5.01.18 - [THERAPY/장애아동의 이해] - ADHD에 대한 이해 / 장애아동의 이해
특정학습장애
1) 특정학습장애의 임상적 특징
인지 능력의 이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학적 근원으로는 뇌의 언어 및 학습과 관련된 유전적, 후생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됩니다.
핵심 학업 기술(단어를 정확하게 유창하게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
철자, 산술 계산, 수학적 추론 등의 영역)의 어려움을 보입니다.
난독증(dyslexia)이 가장 대표적으로, 보유한 학습 기술에 대한 개인의 수행이 연령 평균보다 낮습니다.
정규 학습 과정이 시작된 후에 진단이 가능하며 개인의 의학력, 발달력, 가족력, 교육력,
학습 곤란에 대한 과거력과 현 시점의 발현, 학업 및 직업적 기능, 학업 기술이 요구되는 작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교육 과정 중심 평가, 임상 면담, 과거나 현 시점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표준화된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1:2 정도로 더 흔합니다.
2) 특정학습장애의 원인과 치료
출생 전후의 외상이나 생화학적 또는 영양학적 요인에 의한 뇌손상이 인지처리과정의 결함을 초래하게 되는데요.
뇌의 좌-우 반구의 불균형, 산모의 알코올, 담배, 약물 복용 등의 영향을 미칩니다.
여러 정보를 통합하고 처리하는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의 용량이 부족해서
장기 기억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ADHD와 공병률이 높으며 읽기, 산술, 쓰기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구체적 학습 기술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정리하고 계획하기, 주의력, 듣기 능력 향상시키기, 시간 관리 하기 등 훈련과 연습으로 치료합니다.
운동장애
1) 틱장애의 임상적 특징
갑작스럽게 나타나고 반복적이고 비율동적인 운동 또는 음성 형태로 나타납니다.
눈을 깜빡이거나 헛기침을 하는 것이 가장 흔한 틱 증상입니다.
틱은 대개 불수의적으로 나타나지만 다양한 시간동안 자발적으로 억제되기도 합니다.
뚜렛장애는 단순한 형태로 발병하는데, 주로 5~7살 경에 아이들의 얼굴(일반적으로 눈 깜빡이기)에 영향을 미치는
일과성 운동 틱과 같은 단순 틱으로 시작해서 시간이 지나면서 얼굴의 다른 영역까지 퍼지고
머리, 목, 팔 등 더 낮은 말단으로 내려가는 양상을 보입니다.
틱장애는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에서 더 흔합니다.
전형적으로 4~6세 사이에 시작되며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등으로 10~12세에 가장 심한 양상을 띱니다.
그러다 점점 감소하며 성인기에는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 틱은 짧은 시간(1/1000초)동안 지속, 눈 깜빡임, 어깨를 움츠리기, 팔다리 뻗기 등을 말하고,
복합 운동 틱은 초 단위로 지속되며 머리 돌리기와 어깨 움츠리기가 동시에 나타납니다.
성적이고 외설적인 행동이나 몸짓으로 표현되고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는 반향 운동증처럼 목적이 있는 행동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단순 음성 틱은 헛기침하기, 킁킁거리기, 꿀꿀거리기 등이 있습니다.
복합 음성 틱은 소리나 단어를 반복하기, 마지막에 들은 단어나 구를 반복하기(반향언어증),
민족, 인종 혹은 종교적 비방이나 외설적인 말을 하는 욕설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2) 틱장애의 원인과 치료
유전적인 영향이 크며 뚜렛장애를 가진 엄마의 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비율이 높습니다.
ADHD, 강박장애와 관련성이 높아 공통적인 유전 요인이 작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파민 억제제가 틱 증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도파민 과잉 활동이 원인으로 제기되기도 하고
기저핵(운동 관련 부분)의 이상으로 운동장애가 나타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틱장애가 심할 경우 도파민계에 작용하는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인 haloperidol, pimozide, fluphenazine이 효과적입니다.
습관반전훈련(Habit reversal training/HRT)는 행동주의치료로 자각 훈련과 이완 훈련으로 시작하고
양립하기 어려운 반응을 고안하게 해서 틱증상을 억제시킵니다.
인지치료와 병행하여 전반적인 행동양식을 수정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3) 발달적 협응장애
앉기, 기어 다니기,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폐달 밟기, 단추 잠그기, 퍼즐 맞추기 등이 지연되고
습득이 되더라도 또래에 비해 움직임이 서투르거나 느리고 정확성이 부족한 특징이 있습니다.
아동기 초기에 시작되며 운동 발달 과제의 지연 또는 칼과 포크 쥐기, 옷 단추 잠그기 또는
공놀이와 같은 동일한 동작을 시도할 때 처음으로 인지하게 됩니다.
중기 아동은 퍼즐 맞추기, 모형 만들기, 공놀이, 손 글씨 쓰기, 소지품 정리하기와 같은 운동 순서와
협응 능력이 요구되는 운동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입니다.
성인은 운전이나 도구 사용과 같은 복잡하고 자동적인 운동 기술이 요구되는 과제에서 수행의 어려움을 보입니다.
4) 상동증적 운동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
반복적이고 억제할 수 없고 목적이 없어보이는 운동 행동을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적이 없이 머리, 손 또는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이며 이러한 운동은 멈추려는 노력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비자해적 상동증적 행동(몸 흔들기, 양손 퍼덕거리기 또는 돌리기, 얼굴 앞에서 손가락 튕기거나 펄럭이기, 팔을 흔들거나 퍼덕거리기, 고개 끄덕이기 등)과
자해적 상동증적 행동(반복적으로 머리를 벽에 박기, 얼굴 때리기, 눈 찌르기, 손이나 입술 또는 신체 부위를 물어뜯기 등인데 하루에도 여러 차례 나타나고 몇 초에서 수분 혹은 그 이상 지속됨)으로 나뉩니다.
이렇게 신경발달장애 파트가 일단락이 되었는데요.
틱장애와 ADHD는 뇌의 문제가 100%라고 볼 수 없습니다.
원인이 뇌의 문제가 있다면 약물의 효과는 좋습니다.
하지만 정서의 문제라면 오히려 약물 부작용(신체는 무기력, 정신은 욕구불만으로 인한 기분 저조)이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시면 좋겠습니다.
'THERAPY > 이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M-5 신경발달장애1 / 이상심리학 (0) | 2025.02.23 |
---|---|
이상심리학 이론적 입장 / 이상심리학 (2) | 2025.02.22 |
이상심리학 모형 / 이상심리학 (2) | 2025.02.21 |
이상심리학이란?/이상심리학 이론적 모델 (2) | 2025.02.20 |